여행은 언제나 설렘이 동반한다. 해외에서 한 달 살기는 여행의 끝판 왕이다. 가끔 퇴직 후, 따뜻한 남쪽 나라에 이민을 꿈꾸는 사람이 있다. 이건 꼭 말리고 싶다. 뿌리는 아름다운 한국 고향 땅에 두고, 살고 싶은 곳에서 싫증 날 때까지 여행하다 다른 곳으로 옮겨가는 차라리 집시 여행을 권하고 싶다. 여행은 일상을 뒤로 한다. 그래서 더 먼 곳의 여행을 꿈꾸는지도 모른다. 여행을 꿈꾸는 것은 쉬우나 실행은 그리 간단치 않다. 건강, 시간, 여행경비, 일상의 삶 등 홀가분하게 떠날 수 있는 것 만은 결코 아니다. 그런데 만약 이런 방해꾼들을 일거에 해결해 주고, 자기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공익성 참여 기회가 주어진다면 어찌하겠는가? 여행경비는 물론 충분한 보상까지 더해준다. 이렇게 공적개발원조(ODA) 사업 참여로 『어쩌다 해외 한 달 살기』 여행이 시작되었다.
KOICA를 통한 국제협력 사업은 다양하다. 필자가 참여한 ODA 프로젝트 사업은 대상국에 직업교육훈련을 설립·지원하는 일이다. 학교건축에서부터 교육과정개발, 교재개발, 시설장비 지원, 교직원 초청 및 현지연수, 학교운영능력향상 등 학교 전반에 관한 사항을 자문하고 지원한다.
1부는 6개월 이상 체류하면서 보고, 듣고 이해한 내용들을 그 나라의 역사, 문화와 ODA사업 추진과 함께 소개하였다.
2부는 한 달 미만 체류하면서, 특별한 단기과업이 주어진 국제협력 여행이다. 라오스의 직업훈련제도, 이집트의 기자지역 자동차 정비 사업 실시협의, 인도의 국제기능경기대회 전문가 연수, 홍콩·마카오의 직업교육훈련제도 자료 수집 및 협력 등의 업무수행 내용이다.
3부는 아제르바이잔 학교설립을 위한 국제협력지원 사업기간 동안, 비자발급을 위한 주말 여행이다. 조지아의 트빌리시와 바투미, 튀르키예의 이스탄불, 러시아의 모스코바 등을 소개한다.
4부는 필자에게 ‘해외 한 달 살기’와 ‘해외여행’을 제공한 공적개발원조(ODA)참여방법을 간단하게 소개했다.
끝으로 이미 출판된 ‘어쩌다 해외 한 달 살기’를 읽어 주신 독자들에게 감사를 드리며, 독자들의 편의를 위해 각 권을 한데 묶어 ‘어쩌다 해외 한 달 살기’ 종합편을 전자책으로 출판하게 되었다. 독자 분들의 많은 관심과 사랑을 기대한다.
35년 동안 직업교육분야의 교수직으로 활동했으며
교육학 박사를 취득했다.
퇴직 후에는 필리핀, 베트남, 세네갈, 아제르바이잔의
현지에서 직업교육기관을 설립·운영하는 자문활동을 하였다.
저서로는 CNC공작법 등 다수와 자기주도 학습과 음악치료가
있으며, 전자책으로는 어쩌다 해외 한 달 살기
(필리핀, 베트남, 세네갈, 아제르바이잔), 어머! 애 좀 봐!
AI시대 자녀교육, 전자책 작가되기와
교구별 성지순례를 가다(의정부교구 등 12개 교구)가 있다.